종묘 종묘는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 종묘제례 :종묘에서 모시는 제사 종묘제례악 :종묘제례 때 연주되는 음악과 춤 오는날 종묘제례는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거행되고 있습니다. 문화재 2011.11.11
경복궁 향원정 경복궁 향원정 : 보물 제 1761호 향원정뒤에 보이는' 박물관 '전경 지난번 경복궁 관람하고서 이곳 향원정을 미처 빠트려서 아쉬워.... 단풍이 지기전에 멋 있는 단풍관람을 했습니다. 문화재 2011.11.11
남산골 한옥마을 때맞쳐 열리고있던 2011 태권도시범정기공연모습 타임캡술광장입구 1989년 남산골의 제모습 찾기 사업에 의해 조성한 마을로 수도방위사령부 부지를 인수하여, 서울특별시 지정 민속자료 한옥 5개 동을 이전 복원하고 전통정원으로 꾸몄습니다. 마을 안의 남산골 전통정원은 남산의 산세.. 문화재 2011.11.10
창경궁 1484년 조선 성종이 선왕의 세 왕비를 모시기 위하여 지은 궁궐로서 창덕궁과 함께 동궐이라 불리면서 하나의 궁궐을 형성하면서도 독립적인 궁궐의 형태와 역활을 가졌다.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한 곳,숙종때 인현왕후와 장희빈 이야기,일제 강점기 때 창경궁에서 창.. 문화재 2011.11.10
광화문과경회루 경복궁내 근정전 경회루 광화문 수문교대식 경복궁은 조선왕조를 대표하는 궁궐로서 조선왕조를 세운 태조가 개경에서 한양 (지금의서울)으로 수도를 옮긴 후 1395년에 처음으로 세운 으뜸 궁궐입니다.경복궁은 북악산(백악산),인왕산,낙산,남산(목면산)에 둘려싸여 있고 그중심.. 문화재 2011.11.10
단풍과 낙옆이쌓이는 광릉 홍살문 조선 제7대 세조대왕릉:홀수날에는 세조릉을 개방하여 가까이서 관람할수 있고 짝수날엔 왕비릉을 가까이서 관람할수 있습니다.서울 근교의 조선왕릉들은 멀리서만 보았는데 이곳은 그래도 가깝게 보도록 일부 개방을 했습니다. 왕비(정희왕후)릉 광릉은 조선왕조 제7대 .. 문화재 2011.11.04
용미리석불입상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산8번지 '용암사'내에 있는 보물제 93호 동자상과 칠층석탑에 관한유래 : 이승만 전대통령의 어머니가 석불입상에서 득남발원 기도후 이승만 전대통령을 낳았다는 역사를 기리던 동자상과 석탑 문화재 2011.11.01
윤관장군묘 여충사:문숙공 윤관장군묘역 사적 제323호 려충문 진국문 윤관장군묘소 사적비 신도비 교자총,전마총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 산41-1번지에 있는 고려 중기의 문신인 윤관(?∼1111)의 무덤입니다. 그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 때 문과에 합격하였고, 숙종 9년(1104)에 ‘동북면.. 문화재 2011.11.01
오대산 월정사 월정사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에 있는 절. 643년(선덕여왕 12)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였습니다. 중요 문화재로는 국보 제48-1호인 팔각구층석탑과 국보 제48-2호인 석조보살좌상, 보물 제1375호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국보 제292호인 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 등이 있으며, 육수관음.. 문화재 2011.10.24
낙산사 의상대 해수관음상 보물 제499호 : 낙산 7층석탑 낙산사동종 빈일루 : 만해 한용운스님이 쓴 건봉사본말사정에는 1988년,1912년에 각 각 중건을 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관세음보살이 머무른다는 낙산(오봉산)에 있는 사찰로, 671년(신라 문무왕 11) 의상이 창건하였으며 858년(헌안왕 2) 범일이 .. 문화재 2011.10.24
운길산수종사 이곳 일주문 까지는 운길산역 에서 도보로 30여분이면 도착할수 있다. 수종사를 거쳐서 운길산 등산로도 이어집니다. 수종사에서 바라본 두물머리 전경 수종사 오층석탑 최근에 설치된 수종사 사적기 수령500년된 은행나무 *** 1458년(세조 4) 세조가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금강산 구경을 다.. 문화재 2011.10.06
분원백자관 조선왕실과 궁궐에 필요한 음식 그릇으로 필요한 백자 제작을 위해 왕실에서 광주에 설치한 백자 번조소를 '분원'이라 불렀다 합니다.이곳에 전시관 관람과 교육체험프로그램(찍고찍고스탬프놀이,요리요리퍼즐놀이,어린이 대상프로그램,교사대상프로그램,역사교실,단체프로그램등)등.. 문화재 2011.10.02
준경묘 준경묘 는 삼척시 미로면 활기리 산 149번지에 있습니다. 조선태조의 5대조이며 목조의 아버지인 양무장군의 묘입니다. 활기리에서 준경묘까지는 팻말을 따라 1.8km 보도 코스이며, 묘역까지 시멘트 포장길이 이어지지만 차단기가 굳게 내려져 있어 걸어야 합니다. 고갯마루를 넘어서면서 .. 문화재 2011.10.02
목포근대역사관 근대역사관은 일제 강점기 수난의 역사와 1920년대 말 잊혀져가는 목포의 옛 모습을 생생하게 되돌아 볼 수 있는 역사 인식의 산 교육장입니다.일제가 한국의 경제를 독점하기 위하여 설립한 '구 동양척식주식회사'목포지점은 1920년6월 문을 열었습니다.17곳의 농장을 관리하며 가장많은 .. 문화재 2011.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