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230

수원 화성

*광복절 수도권 일기예보가 곳곳에 비소식이 있네요,산 보다는 우산쓰고도 걷는데 큰 지장이 없는 수원화성을 한달만에 다시 가봅니다(23도 / 33도)*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하였다.*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탐방 일시 : 25.8.15 금요일 7.4km 2시간 18분▲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수원역 9번 ..

문화재 14:23:52

덕수궁 배롱나무.석조전 관람

이른 시간에 인천 중구봉. 천마산 탐방을 마치고 귀갓길에 이맘때쯤엔 배롱나무가 예쁜 덕수궁을 다녀왔습니다.탐방 일시 : 25. 8.3 일요일 *덕수궁▲대한문, 시청역2번출구▲중화전▲일월오봉도▲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배롱나무, 아직도 덜 피어 좀 더 지나야 화려할 듯합니다▲범부채▲돈덕전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관람 ▲준비 없이 갔더니 사전예약제를 시행하네요, 단 65세 이상은 당일 빈자리가 있을 경우 관람을 허용하네요, 일단 안내에 접수하고 기다렸다가 다행히 자리가 있어 11:30분 관람을 했습니다.전구간을 해설사 인솔하에 관람을 하였습니다.▲중앙홀▲귀빈대기실 ↕고종황제▲황제침실▲대식당~ 이상 덕수궁관람을 마칩니다.

문화재 2025.08.03

수원 화성

*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하였다.*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탐방 일시 : 25.7. 16 수요일 7.4km 2시간 40분▲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 수원역 9번 출구 ~ 매산시장 정류장(13번 버스)~팔달문 하차 ~ 지동시장 방향으로... ▲정조대왕 불취무귀▲지동시장▲수원천▲남수문▲봉돈▲창룡문(동문..

문화재 2025.07.18

경복궁 스탬프여권20곳 인증

최근에 서울둘레길2.0을 시행하며 어플(모바일 스탬프여권)에 경복궁 스탬프도 포함되어 있네요, 궁금하던차 가봤습니다. 자주 가던곳인데 20여곳을 찾아 다니는게 어려움점...다행히 마칠수 있었습니다.탐방일시 : 25.1.20월요일 약2시간30분~ 경복궁역 5번출구 ~▲모바일 스탬프여권▲스탬프 여권 20곳▲1.광화문▲2,흥례문▲3,영제교▲4.근정문▲5.조정▲6,근정전▲근정전 일월오봉도▲7.사정전▲8.강녕전▲9.교태전▲10.아미산▲11.경회루▲12.수정전▲14.소주방▲15,자경전▲13.자선당▲16.향원정▲17.건청궁▲18.집옥채▲19.태원전▲신무문으로 나가서...▲청와대▲20.칠궁▲칠궁~조선의 왕들을 낳은 친어머니지만 왕비가 되지 못한 후궁 7명의 신위를 모신 사당▲청와대앞 ~경복궁역으로 이동 탐방을 마칩니다.

문화재 2025.01.20

경복궁 가을풍경

오전엔 서울에 볼일을 보고 도봉산 산행을 계획했으나 몸도 피곤하여, 귀갓길에 경복궁으로 단풍 구경 겸 가을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올해 늦더위로 단풍은 아직도 더 기다려야 할 듯합니다.탐방 일시 : 24.10.25 금요일 약 50여분▲국립고궁박물관옆 은행나무도 아직도 단풍이 안 들었군요...▲경복궁엔 한복 입은 외국인들이 점점 늘어나는 거 같습니다▲경회루▲외국여성이 한복차림으로 촬영 중...▲산사나무▲산수유▲향원정▲광화문

문화재 2024.10.25

수원 화성

*매년 여름이면 폭염을 피해 이른 시각 지하철 타고 다녀오던 곳, 오늘도 다녀왔습니다. 1달 전에도 다녀왔던 곳이죠...*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하였다.*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탐방 일시 : 24.9. 6 금요일   6.44 km  2시간 35분▲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 수원역 9..

문화재 2024.09.06

국립중앙박물관, 용산구

3일 전에도 다녀왔던 곳, 오늘은 이른 시간에 서울숲을 둘러보고 다시 갑니다,오늘은 주로 국보급,보물등을 살펴보려 합니다.탐방일시 : 24.8.10 토요일 오후4호선 이촌역 2번 출구 ~ 국립중앙박물관▲배롱나무▲10:00시부터 입장▲반가사유상 ~ 삼국시대 7세기 ,보물 331호 ▲청동투구, 그리스 기원전 6세기경(2,600여 년 전) 제작 ~ 1936년 11회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우승 손기정기증▲고려시대 청자▲백자 철화 매화.대나무무늬 항아리 ~ 조선 16-17세기 전반. 국보 166호▲분청사기 박지.철채 모란무늬 자라병 ~ 조선 15세기 후반. 국보 260호▲백자 청화 매화.새.대나무 무늬 항아리 ~ 조선 15세기 후반-16세기. 국보 170호▲백자 항아리 ~조선15-16세기▲백자 상감 연꽃 덩굴무늬 ..

문화재 2024.08.11

국립중앙박물관,용산구

장마가 끝나면서 폭염(35도)이 계속 이어집니다. 무더위에 산에 가긴 겁나고, 수서역~동탄역 GTX A를 왕복 탑승(편도 2.1km 요금 4,450)하고, 10시에 개관을 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을 갑니다. 방학을 맞아 단체 학생도 많고 외국 관광객도 최근 들어 가장 많은 거 같습니다. 여긴 모두 무료입니다.* 탐방일시 24.8. 6수요일* 4호선 이촌역 2번 출구 ~ 국립중앙박물관 ▲거울 못▲맥문동▲배롱나무▲야외 전시 석탑~~~▲남산타워▲10:00시부터 입장▲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 ~ 삼국시대 7세기.. 보물 331호▲경기 개풍 경천사 터 ~'경천사 십 층 석탑' 고려 1348년,.. 국보 86↕광괘토대왕 비▲청동불상▲부처와 아미타불 ~ 통일신라 692.706년... 국보 80-79호▲천흥사 종 ~ 고려시대..

문화재 2024.08.07

수원화성

*매년 여름이면 폭염을 피해 이른 시각 지하철 타고 다녀오던 곳, 오늘도 다녀왔습니다.2달 전에도 다녀왔던 곳이죠...*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 탐방 일시 : 24.8.2  금요일   6.4 km  2시간 20분▲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 수원역 9번 ..

문화재 2024.08.02

덕수궁 배롱나무.중명전

이른 시간에 올림픽공원9경 탐방을 마치고 귀갓길에 이맘때쯤엔 배롱나무가 예쁜 덕수궁. 중명전을 다녀왔습니다.탐방 일시 : 24.7.31 수요일   1,34 km  약20분*덕수궁▲대한문 ~ 1호선 시청역 2번출구▲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엔 궁궐입장이 무료입니다.▲중화전▲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배롱나무가 한창 아름답습니다▲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중명전은 덕수궁탐방을 끝내고 암문으로 나와 돌담따라 내려오다 국립정동극장 바로 뒤에 있습니다.▲국립정동극장*중명전 *중명전 ~ 고종이 1907년 강제 퇴위 될 때까지 머물렀던 곳           ~  1905.11.18일 강제로 을사늑약을 체결한 비운의 장소↕1905년 을사늑약 강제체결 모습을사늑약 체결에 가담한 5매국노 : 외부대신 박제순,내부 이지용, 군부 이근..

문화재 2024.07.31

수원 화성

*매년 여름이면 폭염을 피해 이른 시각 지하철 타고 다녀오던 곳, 오늘도 다녀왔습니다.*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 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 탐방 일시 : 24.6.18  화요일   5.9 km  2시간 20분▲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 수원역 9번 출구 ~ 매산시장 정류장(..

문화재 2024.06.18

국립중앙박물관,용산구

이틀 전 블친이신 고산회장님이 다녀오신 중앙박물관에서 새롭게 전시하고 있는 디지털 광괘토대왕비와 탁본을 보고 왔습니다. 탐방일시 : 24.3.27 수요일 ▲4호선 이촌역 3번 출구 ~ 국립중앙박물관 ▲남산타워 *광개토대왕비 ~~~ * 2층에 전시중인 반가사유상 ↕ 반가사유상 ~ 삼국시대 7세기.. 보물 331호 ▲수선화 ▲돌단풍 ▲보신각종 * 이상 박물관 탐방을 마칩니다.

문화재 2024.03.27

용미리 마애이불입상.윤관 장군묘역,파주

11.30일 둘레길 탐방 중 바닥에 넘어지며 오른쪽 무릎 부상, 귀가해서 연고. 파스 등을 바르며 버텼지만 늦은 밤이 되니 붓고 통증이 심해 타이레놀을 먹고... 아침에 일어나니 통증도 어느 정도 사라지고 견딜 만... 치료는 따로 안 받고 2~3일 휴식, 살살 움직이러 문화유적지를 찾아갔습니다. 탐방일시 : 23.11.3 일요일 ~ 자차로 약 16km 32분 거리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넓은 주차장(무료) ▲계단을 오르고, ▲장지산 용암사일주문 ▲범종각 ▲용암사 창건연대는 정확하진 않지만 석불입상의 조성시기와 절의 창건에 얽힌 설화 등을 토대로 11세기 고려시대로 추정 대웅보전 앞 오층석탑. 다보탑(불국사 다보탑을 그대로 본떠 만들었다 함) ▲약사여래불과 약수터 ~ 옆계단으로 오릅니다. ▲마애이불입상 ..

문화재 2023.12.03

창경궁.창덕궁.경복궁가을풍경

***고궁 중 특히 창경궁 춘당지 일원 단풍이 아름다울 때... **창경궁 ~ 하지만 올핸 아직도 단풍이 덜 들었고. 낙엽도 많이 쌓이고 있는 중...? 뭔가 쓸쓸하네요...? ▲ 창경궁 정문, 홍화문 ▲백송 ▲춘당지 ▲팔각 칠 층석탑, 보물 제1119호 ▲성종대왕태실 **창덕궁 ▲ 어좌뒤, 일월오봉도 ▲창덕궁 정문, 돈화문 **경복궁 ▲복원한 월대와 광화문 현판도 복원. 양옆으로 옮긴 해태(해치)상 ▲ 광화문 현판도 복원 ▲ 수문장과 관광객들 ▲ 한복 입은 관광객들, 한국사람도 있지만 외국인이 더 많은 듯... ▲ 춘당지 ▲ 경회루 ▲경복궁밖 은행나무

문화재 2023.11.09

덕수궁.중명전

오전에 수원화성 탐방을 끝내고... 귀갓길에 이맘때쯤엔 배롱나무가 예쁜 덕수궁. 중명전을 다녀왔습니다. 탐방 일시 : 23.8.18 금요일 *덕수궁 ▲대한문 ~ 1호선 시청역 2번출구 ▲중화전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정관헌 ▲광명문 *중명전 탐방 ~ 덕수궁탐방을 끝내고 암문으로 나와 돌담따라 내려오다 국립정동극장 바로 뒤에 있습니다. ▲국립정동극장 *중명전 ~ 고종이 1907년 강제 퇴위 될 때까지 머물렀던 곳 ~ 1905.11.18일 강제로 을사늑약을 체결한 비운의 장소 ↕1905년 을사늑약 강제체결 모습 을사늑약 체결에 가담한 5매국노 : 외부대신 박제순,내부 이지용, 군부 이근택, 학부 이완용, 농상공부 권중헌 ~ 중명전 탐방을 마치고 덕수궁돌담..

문화재 2023.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