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227

경복궁 스탬프여권20곳 인증

최근에 서울둘레길2.0을 시행하며 어플(모바일 스탬프여권)에 경복궁 스탬프도 포함되어 있네요, 궁금하던차 가봤습니다. 자주 가던곳인데 20여곳을 찾아 다니는게 어려움점...다행히 마칠수 있었습니다.탐방일시 : 25.1.20월요일 약2시간30분~ 경복궁역 5번출구 ~▲모바일 스탬프여권▲스탬프 여권 20곳▲1.광화문▲2,흥례문▲3,영제교▲4.근정문▲5.조정▲6,근정전▲근정전 일월오봉도▲7.사정전▲8.강녕전▲9.교태전▲10.아미산▲11.경회루▲12.수정전▲14.소주방▲15,자경전▲13.자선당▲16.향원정▲17.건청궁▲18.집옥채▲19.태원전▲신무문으로 나가서...▲청와대▲20.칠궁▲칠궁~조선의 왕들을 낳은 친어머니지만 왕비가 되지 못한 후궁 7명의 신위를 모신 사당▲청와대앞 ~경복궁역으로 이동 탐방을 마칩니다.

문화재 2025.01.20

경복궁 가을풍경

오전엔 서울에 볼일을 보고 도봉산 산행을 계획했으나 몸도 피곤하여, 귀갓길에 경복궁으로 단풍 구경 겸 가을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올해 늦더위로 단풍은 아직도 더 기다려야 할 듯합니다.탐방 일시 : 24.10.25 금요일 약 50여분▲국립고궁박물관옆 은행나무도 아직도 단풍이 안 들었군요...▲경복궁엔 한복 입은 외국인들이 점점 늘어나는 거 같습니다▲경회루▲외국여성이 한복차림으로 촬영 중...▲산사나무▲산수유▲향원정▲광화문

문화재 2024.10.25

수원 화성

*매년 여름이면 폭염을 피해 이른 시각 지하철 타고 다녀오던 곳, 오늘도 다녀왔습니다. 1달 전에도 다녀왔던 곳이죠...*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하였다.*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탐방 일시 : 24.9. 6 금요일   6.44 km  2시간 35분▲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 수원역 9..

문화재 2024.09.06

국립중앙박물관, 용산구

3일 전에도 다녀왔던 곳, 오늘은 이른 시간에 서울숲을 둘러보고 다시 갑니다,오늘은 주로 국보급,보물등을 살펴보려 합니다.탐방일시 : 24.8.10 토요일 오후4호선 이촌역 2번 출구 ~ 국립중앙박물관▲배롱나무▲10:00시부터 입장▲반가사유상 ~ 삼국시대 7세기 ,보물 331호 ▲청동투구, 그리스 기원전 6세기경(2,600여 년 전) 제작 ~ 1936년 11회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우승 손기정기증▲고려시대 청자▲백자 철화 매화.대나무무늬 항아리 ~ 조선 16-17세기 전반. 국보 166호▲분청사기 박지.철채 모란무늬 자라병 ~ 조선 15세기 후반. 국보 260호▲백자 청화 매화.새.대나무 무늬 항아리 ~ 조선 15세기 후반-16세기. 국보 170호▲백자 항아리 ~조선15-16세기▲백자 상감 연꽃 덩굴무늬 ..

문화재 2024.08.11

국립중앙박물관,용산구

장마가 끝나면서 폭염(35도)이 계속 이어집니다. 무더위에 산에 가긴 겁나고, 수서역~동탄역 GTX A를 왕복 탑승(편도 2.1km 요금 4,450)하고, 10시에 개관을 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을 갑니다. 방학을 맞아 단체 학생도 많고 외국 관광객도 최근 들어 가장 많은 거 같습니다. 여긴 모두 무료입니다.* 탐방일시 24.8. 6수요일* 4호선 이촌역 2번 출구 ~ 국립중앙박물관 ▲거울 못▲맥문동▲배롱나무▲야외 전시 석탑~~~▲남산타워▲10:00시부터 입장▲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 ~ 삼국시대 7세기.. 보물 331호▲경기 개풍 경천사 터 ~'경천사 십 층 석탑' 고려 1348년,.. 국보 86↕광괘토대왕 비▲청동불상▲부처와 아미타불 ~ 통일신라 692.706년... 국보 80-79호▲천흥사 종 ~ 고려시대..

문화재 2024.08.07

수원화성

*매년 여름이면 폭염을 피해 이른 시각 지하철 타고 다녀오던 곳, 오늘도 다녀왔습니다.2달 전에도 다녀왔던 곳이죠...*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 탐방 일시 : 24.8.2  금요일   6.4 km  2시간 20분▲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 수원역 9번 ..

문화재 2024.08.02

덕수궁 배롱나무.중명전

이른 시간에 올림픽공원9경 탐방을 마치고 귀갓길에 이맘때쯤엔 배롱나무가 예쁜 덕수궁. 중명전을 다녀왔습니다.탐방 일시 : 24.7.31 수요일   1,34 km  약20분*덕수궁▲대한문 ~ 1호선 시청역 2번출구▲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엔 궁궐입장이 무료입니다.▲중화전▲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배롱나무가 한창 아름답습니다▲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중명전은 덕수궁탐방을 끝내고 암문으로 나와 돌담따라 내려오다 국립정동극장 바로 뒤에 있습니다.▲국립정동극장*중명전 *중명전 ~ 고종이 1907년 강제 퇴위 될 때까지 머물렀던 곳           ~  1905.11.18일 강제로 을사늑약을 체결한 비운의 장소↕1905년 을사늑약 강제체결 모습을사늑약 체결에 가담한 5매국노 : 외부대신 박제순,내부 이지용, 군부 이근..

문화재 2024.07.31

수원 화성

*매년 여름이면 폭염을 피해 이른 시각 지하철 타고 다녀오던 곳, 오늘도 다녀왔습니다.*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 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 탐방 일시 : 24.6.18  화요일   5.9 km  2시간 20분▲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 수원역 9번 출구 ~ 매산시장 정류장(..

문화재 2024.06.18

국립중앙박물관,용산구

이틀 전 블친이신 고산회장님이 다녀오신 중앙박물관에서 새롭게 전시하고 있는 디지털 광괘토대왕비와 탁본을 보고 왔습니다. 탐방일시 : 24.3.27 수요일 ▲4호선 이촌역 3번 출구 ~ 국립중앙박물관 ▲남산타워 *광개토대왕비 ~~~ * 2층에 전시중인 반가사유상 ↕ 반가사유상 ~ 삼국시대 7세기.. 보물 331호 ▲수선화 ▲돌단풍 ▲보신각종 * 이상 박물관 탐방을 마칩니다.

문화재 2024.03.27

용미리 마애이불입상.윤관 장군묘역,파주

11.30일 둘레길 탐방 중 바닥에 넘어지며 오른쪽 무릎 부상, 귀가해서 연고. 파스 등을 바르며 버텼지만 늦은 밤이 되니 붓고 통증이 심해 타이레놀을 먹고... 아침에 일어나니 통증도 어느 정도 사라지고 견딜 만... 치료는 따로 안 받고 2~3일 휴식, 살살 움직이러 문화유적지를 찾아갔습니다. 탐방일시 : 23.11.3 일요일 ~ 자차로 약 16km 32분 거리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넓은 주차장(무료) ▲계단을 오르고, ▲장지산 용암사일주문 ▲범종각 ▲용암사 창건연대는 정확하진 않지만 석불입상의 조성시기와 절의 창건에 얽힌 설화 등을 토대로 11세기 고려시대로 추정 대웅보전 앞 오층석탑. 다보탑(불국사 다보탑을 그대로 본떠 만들었다 함) ▲약사여래불과 약수터 ~ 옆계단으로 오릅니다. ▲마애이불입상 ..

문화재 2023.12.03

창경궁.창덕궁.경복궁가을풍경

***고궁 중 특히 창경궁 춘당지 일원 단풍이 아름다울 때... **창경궁 ~ 하지만 올핸 아직도 단풍이 덜 들었고. 낙엽도 많이 쌓이고 있는 중...? 뭔가 쓸쓸하네요...? ▲ 창경궁 정문, 홍화문 ▲백송 ▲춘당지 ▲팔각 칠 층석탑, 보물 제1119호 ▲성종대왕태실 **창덕궁 ▲ 어좌뒤, 일월오봉도 ▲창덕궁 정문, 돈화문 **경복궁 ▲복원한 월대와 광화문 현판도 복원. 양옆으로 옮긴 해태(해치)상 ▲ 광화문 현판도 복원 ▲ 수문장과 관광객들 ▲ 한복 입은 관광객들, 한국사람도 있지만 외국인이 더 많은 듯... ▲ 춘당지 ▲ 경회루 ▲경복궁밖 은행나무

문화재 2023.11.09

덕수궁.중명전

오전에 수원화성 탐방을 끝내고... 귀갓길에 이맘때쯤엔 배롱나무가 예쁜 덕수궁. 중명전을 다녀왔습니다. 탐방 일시 : 23.8.18 금요일 *덕수궁 ▲대한문 ~ 1호선 시청역 2번출구 ▲중화전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정관헌 ▲광명문 *중명전 탐방 ~ 덕수궁탐방을 끝내고 암문으로 나와 돌담따라 내려오다 국립정동극장 바로 뒤에 있습니다. ▲국립정동극장 *중명전 ~ 고종이 1907년 강제 퇴위 될 때까지 머물렀던 곳 ~ 1905.11.18일 강제로 을사늑약을 체결한 비운의 장소 ↕1905년 을사늑약 강제체결 모습 을사늑약 체결에 가담한 5매국노 : 외부대신 박제순,내부 이지용, 군부 이근택, 학부 이완용, 농상공부 권중헌 ~ 중명전 탐방을 마치고 덕수궁돌담..

문화재 2023.08.18

수원화성

**매년 여름에 무더위가 극심 할때 면 지하철 타고 다녀오던 곳, 오늘도 다녀왔습니다. ** 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하였다. ** 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 * 탐방 일시 : 23.8.18 6.21km 2시간 30분 ▲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수원역 9번 출구 ~ 매산시장 정류장(11.13번 버스)~팔..

문화재 2023.08.18

국립중앙박물관,용산구

어제 다녀온 국립중앙박물관 사진을 150여 장은 찍은 거 같습니다. 편집해서 4~50여 장 올리고 남은 사진이 아까워 다시 두 번째 올려봅니다. 탐방일시 : 23.7.29 토요일 ↕ 3층 불상들, 청동불상 ▲금 새날개모양 관꾸미개 ~ 경주 황남대총 남분,신라시대 5세기... 보물 고갈모양 관 ~ 경주 황남대총 남분,신라시대 5세기... 국보 ▲투구와 갑옷 ▲사슴장식 구멍 단지 ~ 5-6세기,고대 북방아시아의 여러 민족이 신성시한 동물로 이를 숭배하고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던 가야문화를 엿볼 수 있음 ▲울진 반구대 암각화 ▲김홍도 18세기 ▲삼보를 나타내는 위패,조선 18세기 ▲중앙아시아 ~ 무덤의 인형들 ▲고깔모자를 쓴 소그드인 도용 / 낙타도용 ~ 당 나라 618~907년 ▲무덤을 지키는 괴수 도영 ~ ..

문화재 2023.07.30

국립중앙박물관,용산

장마가 끝나면서 폭염(35도)이 계속 이어집니다. 무더위에 산에 가긴 겁나고,9시에 문을 여는 올림픽공원안내소를 찾아 지난번에 시행한 올림픽공원 9경 투어 8번째 메달을 받아 옵니다. 이어서 10시에 개관을 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을 갑니다. 주말을 맞아 단체 학생도 많고 외국 관광객도 최근 들어 가장 많은 거 같습니다. 여긴 모두 무료입니다. * 탐방일시 23.7.29 토요일 ↕ 9시에 올림픽공원 스탬프투어 8번째 메달을 수령 ~ 5.9호선 올림픽공원역 3번 출구 ▲4호선 이촌역 3번 출구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주말이라 매표소 줄이 깁니다(유료) ▲남산타워 ▲충북 제천 원광사 터 ~'월광사 원랑선사 탑비' 통일신라 신라 890년...보물 360호 ▲경기 개풍 경천사 터 ~'경천사 십 층 석탑' 고려 ..

문화재 2023.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