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한옥마을 전주시 완산구 교동·풍남동 일대에 700여 채의 전통 한옥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화공간으로는 판소리·춤·타악 등 전통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전주전통문화센터, 막걸리·청주의 제조과정 관람과 시음까지 할 수 있는 전주전통술박물관, 숙박을 하면서 온돌과 대청 마루 등 한옥을 직.. 문화재 2012.02.27
분황사 모전석탑 국보제 30호,이 석탑은 현재 남아 있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신라 선덕여왕3년(634)에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모전석탑이다. 1층 몸체들의 사방에는 쌍여닫이 돌문으로 된 불상을 모시는 감실이 있고,감실 양쪽으로 불법을 지키는 인왕상이 돋을.. 문화재 2012.02.18
경주 안압지야경 안압지는 신라 문무왕4년(674)에 큰 연못을 파고 못 가운데 3개의 섬과 북쪽과 동쪽으로는 12봉우리를 만들었는데 이것은 동양의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삼신산과 무산십이봉을 상징한 신라원지의 대표적인 것이다.못가에 임해전과 여러 부속 건물을 만들어 왕자가 거처하는 동궁으.. 문화재 2012.02.18
경주 문무대왕릉 대왕암은 삼국통일을 이룩한 신라 제30대 문무대왕의 바다무덤이다.바닷가에서 200m 떨어진 곳에 길이 약20m의 바위섬으로 되어있다. "내가 죽으면 화장하여 동해에 장례하라,그러면 동해의 호국룡이 되어 신라를 보호하리라"라는 대왕의 유언에 따라 불교식 장례법으로 화장하여 .. 문화재 2012.02.18
경주 안압지(동궁과 월지) 안압지는 신라 문무왕4년(674)에 큰 연못을 파고 못 가운데 3개의 섬과 북쪽과 동쪽으로는 12봉우리를 만들었는데 이것은 동양의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삼신산과 무산십이봉을 상징한 신라원지의 대표적인 것이다.못가에 임해전과 여러 부속 건물을 만들어 왕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 문화재 2012.02.18
경주 계림 이숲은 경주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태어났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다 계림비각 : 조선 순조 3년(1803)에 세워진 것으로 김알지 탄생에 관한 기록이 새겨져 있다 내물왕릉(재위 356-402) : 신라 제17대왕이며 ,김씨로는 2번째왕 문화재 2012.02.17
대릉원 천마총 대릉원은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신라시대 고분군으로 왕.왕비.귀족등의 무덤 23기가 있다. 미추왕릉.황남리고분군.노서리고분군.오릉.동부사적지대.노동리고분군.재매정등이다. 천마총 고분 내부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 금관,귀고리,팔찌,금제 허리띠등 실물은 박물관에 전시중이.. 문화재 2012.02.17
경주 불국사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10년(751)에 재상이던 김재상이 발원하여 개창하고 혜공왕10년에 완성하였다. 석굴암과 함께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천왕문 자하문 국보 제23호 청운교(상층16단),백운교(아래18단) ...자하문과 연결된 다리 국보제 22호 : 연화교,칠보교 (안양문과 연.. 문화재 2012.02.17
토함산 석굴암석굴 국보 제24호인 석굴암 석굴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 이던 김재상이 처음 건립하였다 석굴암 일주문 석굴암 석물 : 석굴암을 수리할때 교체된 구부재들과 기타 주변 석물들로 신라인들의 손길이 스며있는 귀중한 유물들이다 석굴암 석굴이 모셔저 있는 절 석굴암 석굴을 보존 .. 문화재 2012.02.17
창덕궁의 설경② 선정문 선정전 내부 : 보물 제814호, 왕이 평상시 업무를 보던 편전 인정전 : 국보 제 225호 ,창덕궁의 정전으로 국왕의 즉위식,공식적인 대례를 거행 하던 곳 인정전 내부 숙장문 인정문 : 보물 제 813호 진선문 규장각 : 궐 내각사 :왕실과 관련이 있는 관청들 (홍문관,내의원,규장각,예문관.. 문화재 2012.02.02
창덕궁의 설경① 창덕궁은1405년 조선 태종때 지은 제2의 왕궁으로 임진왜란이후 순종때까지 약270여년간 조선의 정궁 역활을 하였으며 동쪽의 창경궁과 함께 둥궐이란 별칭을 갖고 있습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낙선재일원 : 헌종이 왕후가 후사가 없자 1847년 김재청의 .. 문화재 2012.02.02
창경궁의 설경② 춘당지 : 창경궁의연못 관천대 :보물 851호 함인정 환경전 양화당 : 대비의 침전 통명전 : 보물818호,왕과 왕비의 침실 성종태실및태실비 : 태실은 왕족의 태반을 묻어 기념했던 조형물이며 태실비는 그사연을 기록한 비석. 교통편:전철4호선 4번출구-300m직진-횡단보도 건너 왼쪽길로.. 문화재 201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