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212

행주산성,고양

설 명절을 맞아 오후에 아내와 동반, 행주산성과 임진각으로 드라이브 겸 산책을 다녀왔습니다. 탐방일시 : 23.1.22 일요일 설날 오후 약1시간 ▲행주산성 대첩문(정문) ~ *입장료 무료, 주차비 설날 무료 ▲권율장군 ▲권율장군 ▲대첩기념관 ▲방화대교 ▲대첩비각과 행주대첩비 ↕북한산과 고양시일원 ▲자유로 서울방향 ▲토성 ~ 주차장에 도착 탐방을 마치고... ~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을 갑니다 약 44km 거리

문화재 2023.01.22 (2)

수원화성

올 최강 한파(영화 15도)를 기록한 날 수원화성을 다녀왔습니다. 내복에 패딩도 2개나 입고 목도리도 했는데도 몹시 추웠습니다. 특히 사진 찍을 때 장갑을 벗으니 강추위가 느껴집니다. 탐방일시 : 22.12.23 금요일 2시간40분 ▲팔달문(남문) : 보물 제402호 ▲수원역 9번 출구 ~ 매산시장 정류장(11.13번) ~ 팔달문 정류장 하차 ~ 지동시장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지동시장 ▲남수문 ~ 수원천에 있는 9칸의 홍예로 구성 ▲동남각루 ~ 화성에 4개 ~ 주변을 감시. 휴식. 군사 지휘소 역할 ▲봉돈(봉수대) ↕창룡문(동문) ▲동북노대 ~ 화성에 2개(서노대 포함) ~다연발인 쇠뇌를 쏘기 위한 곳 ▲동북공심돈 ~ 화성에 3개 ~ 적의 동향을 살피기 위한 망루와 같은 것 ▲동장대(연무대) ~ 화성에 ..

문화재 2022.12.23

경복궁 가을풍경,종로구 와룡동

경복궁으로 단풍 구경 겸 가을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탐방 일시 : 22.11.7 월요일 1시간 20분 ↕ 은행나무 ▲수문 교대식 ▲근정전 ↕ 경회루 ▲향원정~~~ ▲민속박물관 ▲12지 간지 ▲코로나가 진정되었나요? 경복궁에도 외국 관광객이 많이 늘었습니다 ▲동십자각 ↕ 기념사진 촬영 중인 외국인들 ▲경복궁 담장길 * 이상 경복궁 가을 나들이를 마칩니다.

문화재 2022.11.07 (8)

수원화성

**장마철이면 지하철 타고 다녀오던 곳, 오늘도 다녀왔습니다. ** 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칙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 하였다. ** 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 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 * 탐방 일시 : 22.7.18 2시간 50분 ▲팔달문 (남문, 보물 제402호) *수원역 9번 출구 ~ 매산시장 정류장(11.13번 버스)~팔달문 하차 ~ 지동시장 방향으로.....

문화재 2022.07.18 (2)

행주산성,고양

장마철이 연일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북한산 등 장거리 산행은 쉽지 않고 슬리퍼 만으로도 다닐 수 있는 행주산성을 다녀왔습니다. 탐방 일시 : 22. 6. 29 수요일 약 1시간 ▲들머리인 행주산성 주차장 대첩문 (관람료 무료, 주차 2,000) ~ ↕권율 도원수 상 ↕충장사 삼도 삼문 ↕권율 장군 영정 ▲꿩 발견... 가까이 갈수록 더 멀리 도망가네요. ▲인천공항 가는 방화대교 ▲행주대첩비 ▲성산대교 방향 ▲토성

문화재 2022.06.29

창경궁의 봄

오늘 하루 인왕산. 수성동 계곡 산행, 창덕궁 꽃구경에 이어 창경궁 꽃구경도 해봅니다. *1484년 조선 성종이 선왕의 세 왕비를 모시기 위하여 지은 궁궐이다.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음를 당한 곳,숙종때 인현왕후와 장희빈 이야기등 탐방 일시 : 22. 4.1 금요일 ▲향나무 ▲관천대 ▲성종대왕태실 ▲춘당지 ▲백송 ↕왜가리 ▲홍화문, 창경궁 정문 ↕관상감 관천대(보물 제1740호) 창경궁을 나와 지하철 타러 안국역까지 가는 길에 현대사옥 안에 옛 유적이 보여 담았습니다.

문화재 2022.04.01

창덕궁의 봄

오전에 인왕산과 수성동 계곡 탐방을 마치고, 홍매가 피고 있는 창덕궁을 찾았습니다. *1405년 조선 태종때 지은 제2궁궐.임진왜란이후 순종 떄까지 약270년간 조선의 정궁 역활을 하였다. 탐방 일시 : 22. 4. 1 ▲창덕궁 돈화문 ↕인정전 ▲홍매 앞엔 많은 진사님들로 북적댑니다. ▲낙선재일원 ▲낙선재 * 창덕궁 봄꽃 구경을 마치고, 창경궁으로 이동합니다.

문화재 2022.04.01

경복궁의 봄

어제 일요일에 세정사로 야생화 구경 갔다가 계곡엔 아직도 볼거리가 별로 없었죠.저녁 뉴스에서 여기저기 꽃 소식을 전하네요. 오늘은 경복궁으로 나아가 봅니다. 탐방일시 : 22.3.28 월요일 1시간20분 ▲천록:흥례문과 근정문 사이에 있는 영제교에 있는 4개의 상상속의 돌짐승 조형물로 천록이라고 합니다 ▲경회루 ↕진달래 ▲개나리 ↕매화 ↕산수유 ▲인왕산 ▲홍매화는 피기 시작... ↕향원정 ↕개나리와 닮은 '히어리' ▲국립민속박물관 ▲12지간지 ▲효자각과 효자문 ▲문인석 ▲동십자각 ~ 경복궁역을 출발 경복궁역에서 탐방을 마칩니다.

문화재 2022.03.28

국립중앙박물관 발해유적,서울 용산구

*얼마 전 방송인 고두심이 진행하는 '역 사스페 셀'에서 발해유적에 대해 공부하고... 유적이 많지는 않지만 자그마한 공 간에 별도로 발해가 전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발해는 고구려가 멸망한지 30여년이 지난 698년에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연합해 건국한 나라로 고구려 계승 의지를 밝혔는데,발해의 고구려 유민들은 상류 지배층으로 하류층의 말갈족을 지배했다. 당나라의 제도를 수용해 3성6부 체제로 정치조직이 운영되었고,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자랑하며 '해동성국'이라는 호칭까지 얻었던 발해는 현재의 중국3성(길림성.요령성.흑룡강성)지역,러시아 연해주,한반도 북부에 걸치는 광활한 영토를 가지고 있던 대국이었다. 그러나 926년 거란족(요나라)의 침략으로 멸망하였다(다음백과요약) 탐방일시 : 22.3..

문화재 2022.03.13

눈 쌓인 경복궁,서울 종로구

올해 설날도 코로나로 인해 우리 집엔 오는 사람도 없이 갈 데도 없네요... 모처럼 어제밤 오늘~새벽에 수도권에 큰 눈이 많이 쌓였네요. 낮엔 기온이 오를 듯~서둘러 경복궁으로 갑니다. 탐방 일시 : 22.2.1 화요일 설날 8:48~10:2분 약74분 ↕근전정 ▲근전정 일월오봉도 ▲풍기대 * 경회루 ~~~ ↕북악산 방향 ▲인왕산 방향 * 향원정~~~ ▲천록~흥례문과 근정문 사이에 있는 영제교에 있는 4개의 상상속의 돌짐승 조형물로 천록이라고 합니다 ↕수문장 ↕광화문 금갑장군 문배도 : 문배는 정월 초하루 궁궐 정문에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복을 구하는 의미로 그림을 붙이는 풍속을 의미하며,이때 붙이는 그림을 문배도라 합니다. 문화재청은 문배도의 제작은 조선시대 그림을 그리는 일을 맡았던 관청인 도화서에서..

문화재 202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