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227

조선의 승려장인,국립중앙박물관(용산)

*어제 유튜브를 통해 알게 된 '조선의 승려 장인'이란 이름으로 불교미술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불교미술을 조성한 승려 장인의 삶과 예술세계를 살펴보는 특별전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됩니다. 조선의 승려 장인이라는 제목의 이번 전시에서는 국보 2건과 보물 13건 등 모두 145건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승려 장인은 전문적인 제작기술을 가진 출가승을 일컫는 말로, 부처를 형상화하는 조각승과 화승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조각승 단응의 작품인 보물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이번 전시를 위해 337년 만에 처음으로 사찰 밖으로 외출했습니다. 불교 억압 정책에도 불구하고 수준 높은 작품성을 자랑하는 조선시대 불교미술 작품들은 내년 3월 6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다음 MBN..

문화재 2022.01.26

수원 화성

* 2년 반 만에 다녀온 수원화성 탐방기입니다. * 수원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 만인 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침을 화산으로 옮기고, 1794.1 ~1796.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 5.74km, 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 1.2m이다. 정약용의 기본 설계서인 "성설"(城說)에 기초하여 축조 하였다. * 일제 강점기에 거의 반 해체된 상태였고, 6.25때 북한군의 공습으로 파괴되기도... 현재의 모습은 1975년 이후 시작된 복원 공사의 결과입니다. * 탐방일시 : 22.1.12 2시간 45분 ↕팔달문(남문) : 보물 제402호 ▲수원역 9번 출구 ~ 매산시장 정류장(11.13번) 팔달문 정류장 하차 ~ 지동시장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정조대왕 불..

문화재 2022.01.12

행주산성,고양

행주산성은 임진왜란 때 삼대첩의 한 곳으로 권율 장군의 대첩지입니다. 선조 26년(1593년) 2월 12일 우리군 2,300여 명이 왜군 3만여 명과 대적한 결과 1만여 명이 사상자를 내고 퇴진하였고 이 대첩은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왜군을 물리친 빛나는 승첩으로 당시 부녀자들은 앞치마로 돌을 날라 석전의 공을 세워 행주치마의 유래가 전하여지고 있습니다. 탐방일시 : 21.12.14 화요일 약 50분 ▲대첩문 ~ 관람료 무료, 주차비 2,000 ↕권율 도원수 상 ▲충장사 일주문 ▲방화대교 조망 ▲행주대첩비 ▲성산대교 방향 ▲덕양정 ▲북한산 방향 ↕토성 ↕갤러리 전시

문화재 2021.12.14

창경궁 춘당지,종로구 와룡동

단풍철을 맞아 남산도 가봐야 하고, 올림픽공원도 좋을 듯하고요... 창경궁 춘당지 단풍을 다녀왔습니다. 예전엔 예쁜 원앙새가 보기 좋았는데, 춘당지 주변이 어수선해 단풍도 반감되는 느낌입니다. 탐방일시 : 21.11.7 일요일 약 50분 ▲혜화역 ~ 서울대병원 치대 은행나무 ▲홍화문 : 창경궁의 정문, 보물 제384호 ▲명정문 *춘당지 ~~~ ▲백송 ▲성종 태실 및 태실비

문화재 2021.11.07

석파정,종로구 부암동

석파정은 조선시대에 세워진 흥선대원군의 별서에 딸린 정자 입니다. 탐방일시 : 21.11.3 수요일 약1시간15분 *서울미술관과 석파정 입장료 ~ 일반15,000 (우대경로 9.000) 2년전 만해도 석파정(5,000),미술관통합권(10,000), 석파정만을 별도 관람할수 있었는데 지금은 두곳을 통합관람으로 바 뀌었네요,모두들 비싼 입장료에 한마디씩 합니다. 저도 미술관은 건너 뛰었네요.ㅎ *또한 석파정내에서는 물도 못먹게 합니다, 관람을 끝내고 창의문까지(7~8분)걸어와 쉼터에서 간단한 점심과 커피.과일등을 먹고 귀가합니다 교통편 : 지하철3호선 경복궁역 3번출구 ~시내버스(1020.7022.7212)~부암동주민센터 하차 ▲미술관앞 조형물 ↕소수운련암각자 ▲통일신라삼층석탑 ↕너럭바위(소원바위.행운바위)..

문화재 2021.11.03

반구정,파주

지난 7.14일 다녀왔던 반구정을 드라이브겸 오늘은 아내.어르신을 모시고 다녀왔습니다 *반구정은 방촌 황희선생(1363~1452, 89세)이 관직에서 물러나 갈매기를 벗삼아 여생을 보낸 곳으로 임진강 기슭에 세워진 정자로 낙하진에 인접해 있습니다. 탐방일시 : 21.8.11 수요일 오후 ▲매표소, 일반1,000 주차, 무료 ▲청정문 ▲모시고간 어르신 ▲황희선생영당지~영정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곳 ▲경모재 ↕반구정에서 내려다 본 임진강 ▲저도 기념 사진을 남기고 ... 그늘진 시원한 곳에서 가지고간 커피를 마시고 장시간 담소를 나눕니다. 귀가 길에 일산으로 돌아와 셋이 모두 좋아하는 추어탕집으로 갔으나,도착 시간이 애매 모호한 5:30분...코로나로 현재 4단계 통제로 저녁 6시부터는 2인까지만 식사가 가..

문화재 2021.08.11

황희선생유적지,파주

'반구정'은 방촌 황희선생(1363~1452, 89세)이 관직에서 물러나 갈매기를 벗삼아 여생을 보낸곳, 임진강 기슭에 세워진 정자로 낙하진에 인접해있어 원래는 낙하정이라 하였으나 6.25때 모두 불탔으나,그후 반구정과 앙지대등을 목조건물로 개축하였다합니다. 탐방일시 : 21. 7.14 수요일 오후 ▲매표소(일반 1,000) 주차 무료 ▲청정문 ▲황희선생영당지 ~ 영정을 모시고,제사를 지내는곳 ▲방촌 황희선생 동상 ↕반구정에서 본 임진강 ▲앙지대,공사중 ▲경모재 ▲월헌사 ~ 황희선생의 고손인 소양공 월헌 황맹헌 선생의 신위를 모신 부조묘입니다. ▲방촌기념관 ▲봉선화.털중나리.하늘말나리 * 황희정승유적,반구정탐방을 마치고,황희정승묘 로 이동합니다. * 반구정~'황희정승묘' 10km 16분 이동 ↕황희정승묘..

문화재 2021.07.14

화석정-1,파주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수요일쯤 어르신을 모시고 방문 예정인 화석정을 오후 늦게 아내와 답사겸,드라이브를 다녀왔습니다. 화석정은 경기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 임진강변에 위치하며 임진왜란과 6.25때 소실되었다가 1966년에 복원되었다고 합니다. 탐방일시 : 21.7.4 일요일 오후 늦은시간 ▲새로 복원한 화석정 현판은 박정희가 썻다고함 ▲율곡선생이 8세때 지은 '화석정시'(팔세부시)가 화석정 내부에 걸려 있습니다. ▲'화석정시'(팔세부시)는 화석정의 가을 정취와 선생의 시상을 조화롭게 엮은 아름다운 시 ↕비가 내리는 가운데 임진강풍경 ↕느티나무 보호수

문화재 2021.07.04

호로고루, 연천

* 호로고루 ~ 탐방일시 : 21.3.26 (금요일) *호로고루는 개성과 서울을 연결하는 중요한 길목에 위치하고 있으며,원당리에서 임진강으로 유입되는 지류가 흐르면서 형성된 현무암 단애 위에 조성되었다.호로고루의 어원에 대해서는 '이 부근의 지형이 표주박,조롱박과 같이 생겼다. "하여 호로고루라 불린다는 설과 "고을"을 뜻하는 홀(호로)와 성을 뜻하는 '구루'가 합쳐져'호로고루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경기도 지역에서 조사된 고구려 관방유적 중 당포성,은대리성과 함께 3대 평지성 중 하나이다.호로고루 동쪽 벽은 현무암 지대의 동쪽 부분을 막아 조성한 것으로 가장 높은 부분이 10m로 성벽 위에서는 주변 지역은 물론 임진강의 절경을 바라볼수 있다.호로고루에 대한 1차 발굴 조사는 2000,11월 부터 2002..

문화재 2021.03.26

서울방이동고분군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일대의 구릉지대에 위치하며 모두 8기로 구성된 삼국시대의 고분군이다. 1917년 9월 방이동의 고분들이 처음으로 확인되어 백제 초기의 유적으로 보고되었다. 1976년에는 8기 가운데 3기가 처음으로 발굴 조사되었으며, 1979년 12월 28일에 사적 제270호로 지정되었다. 1983년 서울특별시가 복원공사를 실시해 지금의 고분공원으로 조성되었다. 일반적으로 굴식 돌방〔橫穴式 石室〕이 주류를 이룬 백제고분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1976년에 3기가 발굴된 후 백제고분설과 신라고 분설이 대립되어 있다.(다음 백과 발체) 탐방 일시 : 20.9.5일 7:40 ~ 8:10분 마침(30분 소요)

문화재 202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