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일산역 '경기도 등록문화재 제294호'인 일산역은 경의선로의 역사로 1933년에 건립되었으며, 1933년 10월 21일 영업을 개시하였다. 지붕형태는 일자형 평면에 십자형 박공지붕을 올려놓은 모양으로 정면에서 보이는 박공부위는 비교적 폭이 넓은 반면에 높이는 낮아 1930년대에 건설된 경의선의 다른.. 문화재 2013.01.23
일산 밤가시초가 '경기도 민속문화재 제8호'인 밤가시 초가’라는 특이한 이름을 가진 집으로 정발산 북동쪽에 자리잡고 있다. 이름은 예전 이 마을에 많았던 밤나무를 주요 생활용품과 건물의 재료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으며 19세기 전반 이전 건축물로 추정한다. 문에 들어서면 안마당 가운데 지붕에 .. 문화재 2013.01.22
고양 송포백송 '천연기념물 제60호'인 백송은 나무껍질이 넓은 조각으로 벗겨져서 흰빛이 되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白骨松)이라고도 한다. 중국이 원산지로서 조선시대에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이 가져다 심은 것이다. 송포의 백송은 나이가 약 25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1.5m, 가슴높이 둘레 2.39m이.. 문화재 2013.01.22
남산골 한옥마을 2012년 마지막날 오전에 고봉산 등산을 마친후 충무로에 볼일 보러 갔다가 짬을 내어 한옥마을을 찾았다. 1989년 남산골의 제모습 찾기 사업에 의해 조성한 마을로 수도방위사령부 부지를 인수하여, 서울특별시 지정 민속자료 한옥 5개 동을 이전 복원하고 전통정원으로 꾸몄다. 마을 안의 .. 문화재 2013.01.01
화도진 고종 19년(1882)5.22일 이곳 화도진에서 고종의 전권대신 '신헌'과 미국의 전권대사 '슈펠트제독 ' 사이에 한-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된 곳 이다. 석지(石池) : 물에서 자라는 식물을 기르거나 맑은 물을 담아 투영미를 감상하는데 사용. 내사 (內舍) : 안주인의 거처로 안채라고도 부름 육모정 .. 문화재 2012.11.16
연천 숭의전지 숭의전지는 조선시대에 전 왕조인 고려의 태조 왕건을 비롯하여 나라를 부흥시킨 4왕과 고려 충신 16명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낸 사당이다. 홍살문과 하마비 평화누리길 ,이곳 숭의전을 지난다 숭의전 전경 앙암재 : 제례때 사용하는 향,축,폐 등을 보관하고 제관들이 제례준비를 하.. 문화재 2012.11.04
권율장군과 행주산성 행주산성은 임진왜란때 삼대첩의 한곳으로 권율장군의 대첩지이다.선조26년(1593년)2월12일 우리군 2,300여명이 왜군 3만여명과 대적한 결과 1만여명이 사상자를 내고 퇴진하였고 이 대첩은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왜군을 물리친 빛나는 승첩으로 당시 부녀자들은 앞치마로 돌을 날라 석전의.. 문화재 2012.11.02
수원화성탐방 화성은 정조대왕 재위 13년(1789.10.7일)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침을 화산으로 옮기고,1794년1월~1796년9월까지 화성을 축조하였다 .화성의 규모는 둘레 약5.74km,성벽 높이 5m가량이며 여장의 높이는 약1.2m이다.정약용의 기본설계서인 "성설"에 기초하여 축조되었다. 장안문 <북문> 서북공심.. 문화재 2012.10.07
수원화성문화제 제49회 수원화성문화제가 10.5~10.7일까지 연무대,화성행궁광장,수원천등 수원화성 및 화성시 일원에서 열린다 *** 화성행궁은 1789년(정조13년)팔달산 동쪽 기슭에 건립한 행궁으로 수원부 관아와 행궁으로 사용되다가 1794~1796년(정조20) 에 걸쳐 진행된 화성축성 기간에 화성행궁을 확대하여.. 문화재 2012.10.05
김포 덕포진 사적 제292호로 서해로부터 강화만을 거쳐 서울로 진입하는 어구인 손돌항에 천험의 요새를 이용한 군사의 요충지이고 임진왜란의 쓰라린 체험을 겪은 조선때 창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총 15포대가 발견되었다 파수청 : 각 포대에 공급할 불씨를 보관하던 장소이다 손돌목 : 고려 고종이 .. 문화재 2012.08.01
월산대군사당 조선 제9대 성종의 친형인 월산대군의 사당,묘와 신도비는 고양시 호국로 넘어에 있다 보호수 : 회화나무 수령 : 250년 월산대군 사당 앞에 위치한다. 문화재 2012.08.01
고려공양왕릉 고려의 마지막 왕인 제34대 공양왕(1345~1394,재위 1389∼1392)과 그의 부인 순비 노씨의 무덤이다. 공양왕은 이성계 등에 의해서 즉위한 이름뿐인 왕이었다. 조선 건국 직후 원주로 추방 되었다가 태조 3년(1394)에 삼척부에서 두 아들과 함께 살해되었다. 태종 16년(1416)에 공양왕으로 봉하고 고.. 문화재 2012.08.01
화성공룡알화석지 시화호 일대 물막이 공사를 통해 1999년 발견된 이곳은 2000.3.21일 천연기념물 제414호로 지정되었다.약 1억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공룡들의 집단 서식지로 추정되며, 지금가지 12개 지점에서 30여개의 알둥지와 200여개의 알 화석이 발견되었고 흔적화석도 다수 발견되었다.갯벌 속에 있을 공.. 문화재 2012.07.27
삼전도비 비석에 적혀 있는 원래의 이름은 대청황제공덕비. 병자호란 때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내려와 청 태종의 막사 앞에서 무릎을 꿇고 머리를 땅 바닥에 9번을 찧는 굴욕적인 항복 의식을 치러야 했으며,,,이 승전 비를 청 태종이 세운 비석이다. 비신의 높이는 395cm, 너비 140cm로 이수와 귀부를 .. 문화재 2012.07.13
남한산성행궁 지난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조선의 왕이었던 인조가 청나라와 맞서 47일 동안 항전했던 남한산성 행궁. 1907년 일제에 의해 파괴된 행궁이 10여년의 복원작업 끝에 105년 만에 2012.5월 복원됐다. 행궁은 상궐 73칸, 하궐 154칸 등 모두 3단 227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매표소 : 어른 2,000원 행궁의 대.. 문화재 2012.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