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 눈꽃산행① 설악산·오대산·함백산 등과 함께 태백산맥의 ‘영산’으로 불리며 최고봉인 장군봉(1,567m))과 문수봉(1,517m)을 중심으로 비교적 산세가 완만해 경관이 빼어나지는 않지만 웅장하고 장중한 맛이 느껴지는 산입니다. 산 정상에는 예로부터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천제단(중요민속자료 228).. 수도권 (외)산행 2011.12.28
한반도지형 영월선암마을 선암마을은 서강의 샛강인 평창강 끝머리에 자리잡고 있으며, 마을 앞에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 쌓인 한반도를 꼭 빼닮은 절벽지역인 한반도지형이 있어 유명하다. 평창강은 길지 않지만 유로연장이 220km가 될 만큼 심하게 곡류하며, 주천강과 합쳐지기 전에 크게 휘돌아치면서 동고서저 .. 여행 2011.12.28
경희궁 경희궁은 1617~1623년 광해군이 세웠으며 원래 이름은 경덕궁 이었으나 1760년 영조는 자신의 이버지 시호인 ‘경덕’과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궁궐의 이름을 경희궁으로 바꾸었으며, 경복궁의 서쪽에 있다고 해서 서궐로 불렸다(창덕궁과 창경궁을 합하여 동궐이라 부름). 조선 후.. 문화재 2011.12.17
사육신묘 사육신(死六臣)이란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빼앗고, 왕이 되자 이에 불복하고 단종 복위에 힘을 쓰다 목숨을 잃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과 1982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현창된 김문기를 부르는 말이다. 사육신묘역으로 가는길에 있는 홍살.. 문화재 2011.12.17
서삼릉 서삼릉과 마사회에서 운영하는 원당종마목장은 울타리를 경계로 인접해 있으며 사적 제200호로 효릉·희릉·예릉의 3능을 일컬어서 서삼릉이라 합니다 1) 효릉:중종의 아들 인종과 그 비 인성왕후 박씨의 능 2) 희릉:중종의 계비 장경왕후의 능 3) 예릉:철종과 철인왕후 안동김씨의.. 조선 왕릉 2011.12.15
미리내성지 안성시 양성면 미산리에 있는 미리내 성지는 우리나라 최초 신부인 김대건(1822~1846) 묘소가 있는 곳으로 한국천주교의 대표적 성지입니다. ‘은하수’의 순 우리말인 미리내라는 예쁜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이곳은 지금 보아도 산이 높고 골이 깊은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신유박해(.. 여행 2011.12.12
와우정사 경기도 용인시 해곡동 연화산에 있는 절로서 대한불교열반종의 총본산으로 1970년 실향민인 김해근(법명 해곡 삼장법사)이 부처의 공덕으로 민족 화합을 이루기 위해 세운 호국 사찰이다. 이 절은 세계 41개국의 불교 단체 및 종단과 활발히 교류하는데, 사찰 내 회관에는 세계불교.. 여행 2011.12.12
고봉산에서황룡산까지 고봉산(208.6m) 은 고양시 일산동구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옛부터 태미산으로 알려져 있는 산으로 이곳 고봉산은 높은 산봉우리 또는 봉화를 올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정상에는 군부대가 있어 출입 금지 구역입니다 황룡산(134.5m)은 고양시와 파주시 경계에 있으며 예부터 누런 용.. 수도권 산행 2011.12.08
팔공산 동화사 493년(신라 소지왕 15) 극달이 세운 유가사를 832년(흥덕왕 7)에 심지왕사가 중건할 때 사찰 주변에 오동나무 꽃이 만발하여 있어 동화사라 개칭하였다고 전한다. 그후 여러 차례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1732년 8번째 중건한 대웅전·극락전을 비롯하여 연경전·천태각등 .. 문화재 2011.12.05
팔공산 갓바위 *** 매년 입시철이면 수험생을 둔 부모님 들이 자녀를 위해 불공을 드리는 모습이 TV를 통해 방영되어 가보고 싶었던 곳 이었습니다 산행코스 (왕복 2시간소요) : 갓바위등산안내소~관암사~관봉(850m) 관봉석조여래좌상(갓바위)~약사암~용덕사~관암사~갓바위등산안내소 갓바위 등산로 초입.. 수도권 (외)산행 2011.12.05
경마교육원(원당종마목장) 원당종마목장은 경주마의 육성과 사육을 위해 한국마사회에서 조성된 목장으로, 넓은 초원지대와 구릉으로 이루어진 종마목장은 약 4km 정도의 산책로가 있어, 일반인들이 무료로 산책을 즐길 수 있습니다. 휴무일 : 공휴일,월,화요일 교통편 : 전철3호선 삼송역5번 출구에서 04번종점(서.. 여행 2011.12.02
북한산 불광사-탕춘대성.홍지문 산행코스 : 불광사.불광공원지킴터~족두리봉~탕춘대성~상명대~홍지문 전철3호선(6호선)3번출구로 나와서 10여분이면 불광중학교.불광사.불광공원지킴터에 도착할수 있습니다 ~ 불광공원지킴터에서 오른쪽 족두리봉으로 진행 ~ 불광동 전경 족두리봉에서 향로봉쪽 옆길로 진행 ~ 족두리봉.. 북한산 2011.12.01
용주사 조선 제22대 정조가 부친 장헌세자(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을 화산으로 옮긴 후, 1790년 갈양사 자리에 능사로서 용주사를 세우고 부친의 명복을 빌었다. 사도세자와 혜경궁홍씨( 헌경왕후 ),정조대왕과 효의왕후의 위폐가 모셔 있어 일년에 여섯번의 재 를 모셔 왔다 한다(일제 강.. 문화재 2011.11.28